2015년 9월 30일 수요일

Just One Thought About Personal Mobility

[뜨는 PM]전기자전거·세그웨이·나인봇..퍼스널 모빌리티 뜬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DCD=A601&newsid=01157846609433208

[충정로칼럼] ‘퍼스널 모빌리티 시대’, 제대로 알고 개발 보급해야
http://www.ajunews.com/view/20150701100508191

퍼스널 모빌리티를 창조 경제의 주역으로

미래에는 이렇게? 퍼스널 모빌리티

[뜨는 PM]1000만원 훌쩍 세그웨이, 100만원대 외발 나인봇..퍼스널 모빌리티 세계

한 십년쯤 전이다. 
킥보드와 같은 모습에 가솔린기반의 모터가 달린 "탈 것"에 참 신선한 충격을 받았고 그 이후 그 "탈 것"을 운 좋게 받아 종종 타고 다녔었다. 

당시 그 탈 것에 내가 느낀 한계는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1. 소음이 크다. 2. 주행거리가 너무 짧다. 3. 자동차에 들어가는 가솔린을 따로 구비하기 힘들다로 이야기 할 수 있었다. 특히 소음은 주변인들에게도 나 자신도 너무 힘들었던 문제로 아파트에 민원이 들어와 탈 것을 처분했던 기억이 있다.

요즘 이런 문제가 많이 해결되어 한층 업그레이드 된 탈 것이 눈에 자주 띈다. 
이런 탈 것을 이젠 personal mobility라고 부르는데 유학시절에 보았던 미국 경찰이 타고 다니던 것과 같은 형태 혹은 조금 더 단순화된 형태로 시장에 나오는거 같다. 

personal mobility라는게 말 그대로 개인용 탈 것이니 형태는 다양하게 나오겠지만 분명한건 그 용도와 형태가 현재의 가솔린 기관보단 전기를 동력으로 한 내연기관의 형태가 더 적합하게 보인다. 실제로도 그런 이유로 personal mobility의 대부분의 기관이 전동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personal mobility와는 조금 동떨어진 이야기이지만 난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디젤 사건이 지금 당장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크게 만들어낼 것이라곤 생각하지 않는다. 전기차는 "인프라구축"이 필수적이고 보급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인데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다는 LA를 가서 보아도 미래는 보이지만 지금 현실이 보이는건 아니다. 

하지만 personal mobility는 조금 이야기가 다르다. 작은 자동차 형태가 아니라 과거 내가 본 킥보드 형태 혹은 미국 경찰들이 타고다니던 형태의 모습이라면 거대한 자본이 들어가는 인프라구축이 필요없이 집에서 쉽게 충전이 가능하며 짧은 거리를 움직이는데 유용해 대중화는 아니어도 제법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든다..

관련된 자료를 한번 찾아보자..


2015년 9월 28일 월요일

Meaningful Data - Final

과거 글에서 의미있어 보이는 차트들과 조금의 조작이 첨가된 차트들..








과거 주식시장을 이해하는데 경기선행지수와 같이 많이 애용했던 차트.
파란선이 애용했던 지표이고 회색선이 kospi. 두 지표 모두 yoy 이다.
경기선행지수나 위 차트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차트이고 주식시장을 해석하는데 꽤나 많은 도움이 되었지만 경기선행지수와 마찬가지로 12년 이후 큰 도움이 안되고 있다.

솔직히 말하면 위 차트와 경기선행차트가 주식시장을 긍정정으로 바라보게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었다. 하지만 이들이 예측에 도움이 안됐고 이젠 아래 차트를 가지고 주식시장을 이해해보려고 한다.



1.


녹색선 - 코스피 yoy

짙은 파란선 - 코스피



2.


옅은 파랑선 - 코스피 

녹색선 - 코스피 yoy


1,2번 데이터 차트




아래는 위 데이터 3개월 평균 차트













2015년 9월 24일 목요일

Meaningful Data..



요 1주일 노가다 중에서 그나마 의미있는 데이터..

맨 위 3차트 중 맨 위는 분기별 가계지출, 소비 yoy, 다음은 이번에 구해본 자료 그리고 마지막은 KOSPI yoy.

두 번째 세 번째 차트를 합쳐서 보면 아래 차트와 같은 모습. 노랑색 선이 KOSPI yoy

추가))



아주 만족스럽진 않지만 한동안 코스피를 이해하는데 사용할 생각인 두 지표.
이제 개인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단기와 중기지표를 수정할 때..
Another Work...

내 가족과 주변 지인들.. 그리고 나와 인연이 닿은 모든 분들이 행복한 추석을 맞이하길..
마음 모아 기원드리고 싶다..

2015년 9월 22일 화요일

Production,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최종소비지출지표를 민간지출로 변경, 글자 조금 변경)

아래 모든 차트는 yoy 성장률.



GDP yoy성장률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게 뭘까? 

1980년 이후 자료를 뽑아 관찰해보면 1. 소비지출 2. 총자본형성(설비, 건설, 지식투자)와는 큰 상관관계를 보이고 상품수출과의 상관관계는 앞선 두 지표보단 다소 떨어진다. 

특히 민간소비지출과 총생산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아 보이는데 1990년 이후는 그 움직임이 거의 같다. 



그럼 소비와 투자의 상관관계는 어떨까?

최종소비지출은 민간과 정부지출로 나뉘는데 민간지출과 최종소비지출의 차이가 크지 않아 민간지출로 대신했다.

민간소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투자는 설비투자로 약 0.7이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나머지 건설과 지식투자의 상관관계는 0.5 수준으로 마찬가지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설비투자 만큼 높지는 않다.

차트에서 보면 알 수 있지만 소비보다 투자의 변동성이 더욱 크고 그 중에서도 설비투자의 변동성은 다른 투자들보다 더 크다.

또 하나 눈여겨 볼 것은 소비와 투자의 민감도(단어수정)를 보면 소비가 투자보다 1분기 혹은 2분기 정도 먼저 선행하거나 혹은 동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투자와 수출간의 상관관계는 있지만 높지 않다고 보여진다.
다만 이들의 상관관계는 2000년을 기준으로 조금 다르게 해석이 될 수 있는데 2000년 이후 이 둘 사이의 상관관계는 과거와 비교해 더 높아 보인다. 그리고 투자가 수출에 약간 선행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이런 저런 차트를 조금 올렸지만 결국 내가 찾고 싶은건 "수출의존국"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는 정말 수출에 의존해야 하는지 하는 질문에 답을 구하고 싶었다.

그런데 GDP로 불리는 국내총생산이 수출보단 소비와 투자에 더 가까운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음이 보이고 소비는 투자에 동행하거나 1,2분기 선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국가의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라고 불리어지는 GDP를 이해하는데 소비를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논지와 관련이 크게 없어 삭제)




2015년 9월 20일 일요일

Meaningless Data..


개인적으로 과거 주식시장을 예측하는데 많이 의존했었던 경기선행지수.
개인지표에서도 꽤나 큰 비중을 차지했던 지수이다.
하지만 2011년 이후 경기선행지수와 코스피의 상관관계가 많이 없어 보인다.


2인이상 가구당 소득과 지출 그리고 코스피와의 상관관계는 크지만 예측하는 지표로선 큰 의미가 없다.. 특히 분기별 자료이기에 선행자료의 가치를 갖기 어렵다.

(개인 소장용 글로 변경 그리고 개인적인 해석 변경으로 인해 삭제)


코스피와 상관관계가 높다고 알려져있는 msci 신흥국지수
엑셀로 다운 받을 수 있으면 더 좋겠다는 마음.


OECD CLI

2015년 9월 9일 수요일

2015년 7월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119719&boardBean.menuid=559&boardBean.rnum=1


메르스가 전부였던 6월 가계대출을 보면 눈에 띄는 것 3가지.

약 2년간 꾸준히 상승추세를 보이던 yoy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율이 큰 폭으로 추세 이탈된 모습.. mom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을 보아도 04년 1월 이후 가장 큰 하락세를 보임..

다음으로 눈에 띄는건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 둔화와는 달리 기타대출의 증가세는 그 추세가 여전하다.

마지막으로 눈에 띄는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을 통한 mom 대출 증가율은 예금은행과는 달리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 과거 차트를 보면서 언제 이와 같은 모습이 보여졌는지 확인해보려 했으나 이렇게 큰 차이로 엇방향을 보인적이 없음...

7월은 어떤 모습으로 회복할지 궁금했었음...

mom 증가율이야 V자 반등이 나오기 쉽다지만 yoy 증가율은 어떻게 변할까 내심 궁금했는데 mom과 같은 급격한 반등은 보이지 않은 모습...

무너진 추세가 복귀하기 어렵고 현재의 모습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면 3분기 경제성장률도 그닥 기대하긴 어렵지 않나 하는 작은 생각...

뭐 7월까지도 메르스는 이슈가 되었으니 8월을 지켜봐야 할 듯....?

2015년 9월 8일 화요일

Ex and HMC


(추가 차트, 현대차 주가를 1년 앞당겨 그림)

심심해서 그려본 환율과 현대차 주가.

yoy 환율과 yoy 현대차 주가간엔 약 1년 정도의 시차가 존재하는 것이 보인다.
환율이 오른 시점을 보면 그냥 위기에 강했다고 해석 가능할 듯.

http://dalmitae.blogspot.kr/2015/08/blog-post.html

다만 이런 모습 이전에 현대차는 도로주행차량 수출과 주가가 그 움직임을 더 같이 한다.

당연한 말..

또 yoy수출과 현대차 주가 yoy는 더욱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어째든 지금 현대차는 싸다. 전에도 말했지만 싸다. 다만 자동차 수출이 계속 증하는 모습이 없다면 현대차의 주가는 고점과 근래 하락 사이에서 박스권 움직임을 보일 것이다.

추가)

현대車노조의 억지 "실적악화는 회사탓…연봉 무조건 인상"

현대차 노조의 주장을 내가 듣지 못했으니 딱히 평가할 생각은 없지만 분명한건 이들이 좀 상식 밖의 말을 한다는 것이다.

이들의 요구중 "당기순익 30% 성과급 요구"가 있는것 같은데 직업도 세습하는 놈들이 뭘 그리 원하는게 많은지.

당기순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요구하는 노조가 세상에 얼마나 있나? 적어도 내가 아는 선에선 하나도 없다. 또 직장을 세습하는 노조가 얼마나 있나?

내가 현대차를 평가할 때 가장 먼저 제거해야 할 암덩어리로 보는 것이 사옥을 위해 평당 4.4억을 주고 땅을 산 MK가 아니라 이 미친 노조다.


추가 차트)



2015년 9월 4일 금요일

Dollar Index And Exports for China


https://research.stlouisfed.org/fred2/graph/?g=1L5l


중국의 상품수출 yoy
"-"달러인덱스 yoy 즉 yoy달러 인덱스를 뒤집음.
그리고 "-"위안/달러 yoy 달러 인덱스와 마찬가지로 역수를 취함.

중국의 yoy 상품수출이 달러 인덱스랑 연관이 있다. 무역과 환율이 연관이 있는건 당연하다. 그런데 통념적으르로 알고 있는 달러 강세일 때 수출이 호조를 보인것이 아니라 오히려 달러 약세일 때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한국의 수출에서도 확인된다.
http://dalmitae.blogspot.kr/2015/09/exchange-rate-and-export.html

중국 정부도 위안화 약세를 통해 수출 드라이브 경제정책을 펼 것이 아니다.
수입의 감소추세를 보니 내수경제가 좋지 않아 보이는데 자국통화 가치를 내려야 좋을게 없다. 그나마 지난번 위안화 평가절하가 이해가 되었던건 물가상승률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

중국도 수출드라이브? 그럼 내수는?
http://dalmitae.blogspot.kr/2015/08/blog-post_13.html

요 근래 중국의 행보를 보면 위안화를 국제적인 화폐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것 같다. 나 개인적으로는 미국을 모방해 각 성이 specialty를 갖고 이런 specialty를 바탕으로 국내거래만으로도 경쟁우위를 갖도록 실력을 갖는게 위안화 국제화라는 목표로 가는 더 빠른 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2015년 9월 2일 수요일

Exchange Rate And Export





얼마전 모증권에서 일하는 친구와 대화 중..
우리나라 경제를 위해서 우리나라도 정부가 환율을 올릴 필요가 있다는 친구 왈...
중국처럼 적극적으로 환율 방어에 나서야 한다는 말...
너네 부서 사람들이 너하고 같은 의견이냐 물었더니 그렇다고...

환율과 수출간의 상관관계를 보고 하는 말인지...

지금 우리나라의 수출이 부진한건 1. 높은 부가가치 상품을 팔지 못하는 기업 2. 낮아지는 기업 경쟁력 3. 정부의 뻘짓.

물량지수로 보면 수출은 아직은 우상향중.
다만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있고 변동성이 커지고 있음.

그런데 수출 금액지수로 본 수출은 이미 성장세 둔화 그리고 역성장.
이는 기존 상품의 가격이 하락함을 의미.
이는 다시 말하면 기존시장의 경쟁강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

그런데 이런 수출액 부진은 꼭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님. 국가별 3개월 이동평균치 달러표시 수출금액 yoy를 보면 대부분의 수출 국가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모습. 중국은 예외.

http://dalmitae.blogspot.kr/2015/08/blog-post_13.html

결국 세상은 새로운 시장이 필요해보이는 지금..
새로운 시장의 출현이 아직 어렵다면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필요.
Jobs가 더 많이 필요한 시점 그리고 그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
그나마 눈에 띄는건 Musk인데..
우리나라 기업들이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스마트폰은 그나마 삼성과 LG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술력이 높아 새로운 시장에 반응이 용이했음. LG는 기술력이 있었지만 새로운 시장에 빠른 대응 실패로 인해 이지경.

그나마 아직 많은 규제들로 인해 시작조차 하지 못했던 많은 시장이 남아있음.

제발 좀 잘해보자.
자꾸 뻘짓 그만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