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예금취급기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예금취급기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4월 19일 화요일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그리고 주택/아파트 가격

과거 금융위기 이전 07년에 yoy 가계대출은 어떤 모습을 보였을까?

1. 전체대출 중 예금은행 대출은 06년 말 증가율이 정점을 찍고 하강하는 모습, 비예금은행 대출은 추세적 증가를 보였다. 예금은행의 증가율이 비예금은행보다 높이 유지 되던 전체대출이 07년 4월 이후 역전되어 비예금은행의 증가율이 예금은행의 증가율을 앞질렀다.

2. 주택담보대출 중 예금은행 대출은 전체대출과 같이 06년 말 증가율의 정점 후 빠르게 하강하는 모습, 비예금은행은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지만 전체 대출의 추이를 두고 볼 때 06~07년은 상승추세를 그린 후 08년부터 하강을 그렸다.

3. 기타대출 중 예금은행 대출 증가율은 06년 성장률은 잠시 정체 후 07년 크게 증가하기 시작해서 금융위기가 본격화 된 08년 9월을 바로 전후로 증가율이 큰폭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비은행권 대출 역시 비슷할 것으로 본다.




주택담보대출을 더 들여다보면 의외의 모습이 보인다.

예금은행의 yoy 주택담보대출과 비은행의 yoy 주택담보대출의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는다. 12~14년을 제외하면 오히려 둘 사이엔 역의 관계가 보인다. 관찰이 가능한 시기가 짧아 일반화 시키기는 무리. 다만 두 지표 사이에 상관관계는 약하다는 정도는 분명해 보인다.

같은 주택담보대출인데 어째서 상관관계가 낮을까? 이유를 생각해보면 대출을 받는 주체가 다르다거나 대출의 목적이 다르다거나 혹은 둘 모두 이유일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인 만큼 주택/아파트 가격과 대출간 비교를 해보자.




전국 주택/아파트 가격 VS 주택담보대출을 보면 재미난 현상이 보인다.

1. yoy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yoy 전국 주택/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을 보면 매우 흡사하다.

2. yoy 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yoy 전국 주택/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을 보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아파트가격을 동행 혹은 다소 선행하는 모습이 보인다. 아래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6개월 뒤로 이동시켜 그려본 차트이다.



우선 위 자료는 단기적인 데이터로 어떤 가설의 검증 요소로 사용하기엔 데이터가 너무 부족하다. 더 장기간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감안하고 위 보이는 것만을 가지고 어떤 이야기를 적어볼 수 있을까?

대출의 주체가 다르다? 아니면 대출의 용도가 다르다? 아니면 둘 다?

이를 가지고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볼 수 있지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시간과 자료가 충분하다면 이를 연결시켜 고소득/고자본가들의 자산 증식 속도가 저소득/저자본가들보다 더 큰 이유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하지만 내가 중요하게 보는 것은 위의 내용이 아니라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과 주택/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이 같다는 것 그리고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주택/아파트 가격을 동행 혹은 다소 선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다시 말하면 주택/아파트 가격을 예상하는 지표로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용이하고 주택/아파트 가격을 확인하는 지표로서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지금 주택담보대출은 어떤 모습을 그리고 있는가? 
앞으로 부동산은 어떻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는가? 


2016년 2월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yoy 비은행 대출의 가파른 증가세 그리고 yoy 기타대출의 증가세가 다소 빠르다. mom 추세를 보면 비은행대출은 상승추세가 아직 유지되고 있지만 예금은행은 추세 이탈.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가계대출의 기간이 너무 짧아 대출의 사이클과 특징을 이해하는데 큰 한계가 있지만 일단 연구는 해볼 생각.



2015년 9월 9일 수요일

2015년 7월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119719&boardBean.menuid=559&boardBean.rnum=1


메르스가 전부였던 6월 가계대출을 보면 눈에 띄는 것 3가지.

약 2년간 꾸준히 상승추세를 보이던 yoy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율이 큰 폭으로 추세 이탈된 모습.. mom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을 보아도 04년 1월 이후 가장 큰 하락세를 보임..

다음으로 눈에 띄는건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 둔화와는 달리 기타대출의 증가세는 그 추세가 여전하다.

마지막으로 눈에 띄는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을 통한 mom 대출 증가율은 예금은행과는 달리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 과거 차트를 보면서 언제 이와 같은 모습이 보여졌는지 확인해보려 했으나 이렇게 큰 차이로 엇방향을 보인적이 없음...

7월은 어떤 모습으로 회복할지 궁금했었음...

mom 증가율이야 V자 반등이 나오기 쉽다지만 yoy 증가율은 어떻게 변할까 내심 궁금했는데 mom과 같은 급격한 반등은 보이지 않은 모습...

무너진 추세가 복귀하기 어렵고 현재의 모습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면 3분기 경제성장률도 그닥 기대하긴 어렵지 않나 하는 작은 생각...

뭐 7월까지도 메르스는 이슈가 되었으니 8월을 지켜봐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