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investme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nvestmen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9월 22일 화요일

Production,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최종소비지출지표를 민간지출로 변경, 글자 조금 변경)

아래 모든 차트는 yoy 성장률.



GDP yoy성장률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게 뭘까? 

1980년 이후 자료를 뽑아 관찰해보면 1. 소비지출 2. 총자본형성(설비, 건설, 지식투자)와는 큰 상관관계를 보이고 상품수출과의 상관관계는 앞선 두 지표보단 다소 떨어진다. 

특히 민간소비지출과 총생산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아 보이는데 1990년 이후는 그 움직임이 거의 같다. 



그럼 소비와 투자의 상관관계는 어떨까?

최종소비지출은 민간과 정부지출로 나뉘는데 민간지출과 최종소비지출의 차이가 크지 않아 민간지출로 대신했다.

민간소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투자는 설비투자로 약 0.7이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나머지 건설과 지식투자의 상관관계는 0.5 수준으로 마찬가지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설비투자 만큼 높지는 않다.

차트에서 보면 알 수 있지만 소비보다 투자의 변동성이 더욱 크고 그 중에서도 설비투자의 변동성은 다른 투자들보다 더 크다.

또 하나 눈여겨 볼 것은 소비와 투자의 민감도(단어수정)를 보면 소비가 투자보다 1분기 혹은 2분기 정도 먼저 선행하거나 혹은 동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투자와 수출간의 상관관계는 있지만 높지 않다고 보여진다.
다만 이들의 상관관계는 2000년을 기준으로 조금 다르게 해석이 될 수 있는데 2000년 이후 이 둘 사이의 상관관계는 과거와 비교해 더 높아 보인다. 그리고 투자가 수출에 약간 선행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이런 저런 차트를 조금 올렸지만 결국 내가 찾고 싶은건 "수출의존국"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는 정말 수출에 의존해야 하는지 하는 질문에 답을 구하고 싶었다.

그런데 GDP로 불리는 국내총생산이 수출보단 소비와 투자에 더 가까운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음이 보이고 소비는 투자에 동행하거나 1,2분기 선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국가의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라고 불리어지는 GDP를 이해하는데 소비를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논지와 관련이 크게 없어 삭제)




2014년 3월 4일 화요일

4q GDP Growth Rate and Investment

지난주 미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 수정치가 발표되었다. 수정치는 잠정치 3.2%에 비해 조금 낮은 2.4%를 기록하였다. 이것은 잠정 개인소비 증가율(3.3%)이 2.6%로 하향 조정된 것에 따른 결과이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2012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성장폭이다.

비록 경제성자율은 조금 낮아졌지만 나쁘게 볼 필요는 없어보인다. 민간(개인)소비가 탄탄하고 투자도 적당하다. 더 눈에 띄는 것은 큰 폭으로 감소한 정부지출의 감소이다. 이렇게 정부지출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와 투자가 경제성장을 이끈 만큼 현 미국 경제는 견고한 모습이라 평하고 싶다.





캔 피셔의 주식시장의 17가지 미신이란  책에 따르면 "경기 침체가 오는 것은 주로 기업 투자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캔 피셔에 따르면 08년 금융위기의 원인이 된 주택 투자가 GDP를 줄이긴 했지만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만큼은 아니라고 한다. 주택부문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아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반면 소비 지출의 기여 비중은 -2.3%로 작고, 기업의 투자 기여 비중은 무려 -4%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즉 기업의 투자가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우리가 겪은 거친 경기침체가 다소 완만한 모습을 띄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런 성향은 분기별 성장률과 항목별 성장률을 비교해보면 쉽게 나타난다.

아래는 위에 이어 작년에 작성한 글을 옮겨와본다.

이 내용을 보면서 과거 정대영소장님이 쓴 한국경제의 미필적 고의라는 책의 내용이 떠올랐다. 그 책을 보면 총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나온다. "한국의 GDP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명목 기준으로 1990년대 중반 36%(건섩투자 22% 설비투자14%)에서 2000년대 후반 29%(건설투자18% 설비투자11%) 수준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낮아진 투자의 GDP 구성비 29%조차 미국의 18~20%보다 월등히 높고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이자 제조업이 발달한 독일과 일본의 1980년대 수준보다도 높은 편이다. 독일은 투자의 GDP 구성비가 1980년대 23%에서 2000년대 후반 18%으로 낮아졌고, 일본도 29%대에서 23%로 낮아졌다."

그럼 다시 생각해보자. 우리나라의 총투자 비중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다. 헌데 우리나라보다 투자의 비중이 낮은 미국이 기업투자가 -4%를 보였을 때 GDP는 -4.7%를 보였다. 그렇다면 GDP에서 투자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기업투자가 -4%를 보인다면 GDP는 미국보다 더 크게 하락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캔피셔는 그의 저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실업률이 경제를 좌우한다고 착각한다. 소비수요는 경제성장을 좌우하는 변수가 아니다. 소비수요는 실업률이 높은 기간에도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생산자들이야말로 경제성장을 이끄는 주역이다. 이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장래에 이익을 가져다줄 제품을 생산한다. 정치인들은 호통치고 횡설수설하면서 제멋대로 삿대질을 해 댄다. 그러나 실업률을 낮추고 싶다면 기업 활동의 장벽을 낮추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고용을 늘리는 것은 성장이기 때문이다" (캔피셔, 175)

과거 룰라 대통령도 성장이 멈추면 가난한 사람들이 더 큰 고통을 받는다고 하였다. 결국 복지던 고용이던 결국 성장이 바탕이 되어야 그것이 지속가능하다. 헌데 지금 우리나라에서 성장을 말하는 사람은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