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Exports Of Goods for Chin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Exports Of Goods for Chin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2월 4일 목요일

Export For China And Dollar Index







중국의 yoy 상품수출(마이너스로 역의 방향임, 즉 차트상 상승=감소, 차트상 하강=증가)과 달러인덱스간의 상관관계는 분명해 보인다.

보통 '강달러 = 수출증가, 약달러 = 수출감소'로 생각한다. 하지만 실상은 그 반대인 '강달러 = 수출감소, 약달러 = 수출 증가'로 나타난다.

환율과 수출의 관계는 우리가 배운 지식과는 좀 더 다를 수 있다는걸 염두해야 한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일본 장기 저성장의 여러 원인 중 하나이고, 한국 저성장의 여러 원인 중 하나이며 앞으로 중국의 여러 위험요소 중 하나라고 본다..

2015년 9월 4일 금요일

Dollar Index And Exports for China


https://research.stlouisfed.org/fred2/graph/?g=1L5l


중국의 상품수출 yoy
"-"달러인덱스 yoy 즉 yoy달러 인덱스를 뒤집음.
그리고 "-"위안/달러 yoy 달러 인덱스와 마찬가지로 역수를 취함.

중국의 yoy 상품수출이 달러 인덱스랑 연관이 있다. 무역과 환율이 연관이 있는건 당연하다. 그런데 통념적으르로 알고 있는 달러 강세일 때 수출이 호조를 보인것이 아니라 오히려 달러 약세일 때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한국의 수출에서도 확인된다.
http://dalmitae.blogspot.kr/2015/09/exchange-rate-and-export.html

중국 정부도 위안화 약세를 통해 수출 드라이브 경제정책을 펼 것이 아니다.
수입의 감소추세를 보니 내수경제가 좋지 않아 보이는데 자국통화 가치를 내려야 좋을게 없다. 그나마 지난번 위안화 평가절하가 이해가 되었던건 물가상승률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

중국도 수출드라이브? 그럼 내수는?
http://dalmitae.blogspot.kr/2015/08/blog-post_13.html

요 근래 중국의 행보를 보면 위안화를 국제적인 화폐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것 같다. 나 개인적으로는 미국을 모방해 각 성이 specialty를 갖고 이런 specialty를 바탕으로 국내거래만으로도 경쟁우위를 갖도록 실력을 갖는게 위안화 국제화라는 목표로 가는 더 빠른 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