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SE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E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7월 31일 목요일

SEC 2q 14






2분기 삼성전자의 실적은 앞선 발표와 같아 특별히 언급할 것이 없다.

우선 yoy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증가율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그리고 2분기엔 모두 아예 역성장한 모습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13년 4분기를 기점으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성장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제품별 실적을 보면 모바일 사업의 하향이 눈에 띈다. 특히 모바일의 경우 매출액 자체가 지난 13년 3분기 이후 계속되어 왔는데 수익률과 사업비중이 가장 높은 사업인 만큼 하향세는 삼성전자의 실적 하락과 맞물려진다.





반도체의 경우 높은 수익률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 또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비 증가한 모습이라 아직 반도체시장이 아직까지 확장국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3년 3분기 가장 높은 이익률을 기록한 후 이익률이 조금씩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지금의 반도체시장은 싸이클상 호황기의 중반 혹은 후반을(수정) 향해 가고 있을 확률이 있다. 이는 yoy 영업이익증가률에서도 보여진다. 다만 아직 강한 싸인이 아니라 확신을 갖기엔 조금 부족하다. 계속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http://www.samsung.com/sec/aboutsamsung/ir/newsMain.do


2014년 7월 8일 화요일

SEC 2Q earning


2분기 삼성전자 잠정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액 52조 영업이익 7조.
영업이익 7조는 12년 3q 이후 처음이다.

주된 원인은 성숙기에 진입한 스마트폰 시장이다.
앞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경쟁이 과열될테고 수익성은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다.
새로운 시장이 필요하다.

얼마전 스마트폰 순위를 매긴 뉴스를 보았는데 놀라웠던 것은 HTC 스마트폰이 삼전을 누르고 2위를 했다는 것이다. 한 기관에서 발표하는 것인 만큼 전적으로 신뢰하긴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제품이 고평준화 되면서 이젠 브랜드 충성도가 중요해진 시점이다.


아래는 삼전의 2분기 설명자료

〈2분기 관련〉

□ 2분기 전사 실적 약세
- 2분기 전사 실적 약화는 2분기중 지속된 원화 강세,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판매 감소 및 재고 감축을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 무선 제품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 약세에 주로 기인.

□ 환율 영향
- 달러와 유로화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흥국 통화에 대해
원화 강세가 지속되어 전사 실적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무선 사업 실적 약세
- 스마트폰은 시장 성장률 둔화 속에서 특히 중국 및 유럽 시장내
업체간 경쟁 심화로 중저가 스마트폰의 유통 채널내 재고가
증가하며 2분기 Sell-in 물량 하락.
따라서 3분기 성수기 및 신모델 출시를 대비하여 유통재고를
축소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다소 공격적으로 집행.
· 중국은 비수기 영향, 하반기 4G LTE 확산 앞둔 3G 수요 약세,
로컬업체의 공격적 가격경쟁 심화 등으로 유통 채널내 재고 증가.
· 유럽은 40% 수준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 오던 중,
2분기 수요 약세 지속으로 유통 채널 재고 부담 상대적 가중,
2분기 Sell-in 하락으로 이어짐.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다소 크게 하회하는 상황 속에서
실적 발표일까지의 시장과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우려 완화 및
이해도 제고 목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고자 함.- 2 -
- 태블릿의 경우, 전반적인 시장 수요 부진으로 인해
판매 감소가 예상 대비 확대됨.
· 스마트폰과 달리 사업자 보조금 효과가 미미해 교체 수요 부진
· 5"~6"대 대화면 스마트폰 판매확대가 7"~8"대 태블릿 수요 잠식 등
- 따라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신제품 출시 관련 마케팅 활동 외
유통 채널내 재고 감축을 위한 Sell-out 프로모션을 강력하게 집행,
전분기 대비 마케팅 비용이 다소 크게 증가, 실적 하락에 큰 영향

□ 무선 제품 수요 약세에 따라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도
직접적 영향을 받아 판매감소, 수익성도 예상대비 약화


2014년 4월 29일 화요일

SEC 1q 0f 14





Apple과 다를바 없다.

이는 스마트폰 시장의 성숙기에 따른 영향이 큰데 겔기어와 타이젠이 삼성에겐 정말로 중요해졌다.

이번 삼성의 언론보도를 보면
올해 삼성전자는 무선 사업에서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메모리와 CE 사업은 실적 개선에 힘써 실적 성장세를 유지할 예정이며,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주요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스마트폰을 통한 실적 증가는 다소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고 보여지고 반면에 경기회복과 코 앞으로 다가온 브라질 월드컵으로 인한 TV수요 증가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 역시도 작년부터 기대하고 있던 부분이다.

그런데 문제는 올 2월 소치 올림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TV의 수요 감소가 발생했다는 삼성의 보도이다. 이를 기초로 예측해보면 자칫 브라질 월드컵 특수 마저도 미비한 수준으로 머물 가능성이 있다. 잠시 테마가 형성될 수는 있지만 섣불리 내릴 결정은 아닌것 같다. 주변 지인들을 관찰할 때가 왔다.





더해서 사실 TV의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삼전의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기 어렵다.

지난 1분기를 바닥으로 이익률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이익률이 많이 낮은 이유로 실제 영업이익에서 CE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