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earn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earn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4월 8일 금요일

US Economy Seems To Be Slowing Down


미국 경기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고 있다. 더 아쉬운건 경기과속과 그로 인한 후유증일까 경기가 하강하는 모습이 14년 이후 반복된다.

14년 1분기 한파로 인해 경기가 크게 꺽이고 2분기 다시 크게 반등한다. 당시 경기의 변동폭이 크다고 과속을 언급했는데 이후 경기는 다시 하강기조를 보였다. 그리고 15년 2분기 다시 크게 반등하지만 이후 3,4분기 연속 하강기조를 보인다.

경기가 이렇게 큰 변동을 보이는건 절대로 좋지 않다. 더해서 과거 글들에서도 계속 경기의 큰 변동과 더불어 언급하는 것이 있다. qoq 경제성장률이 4%를 도달하면 이후 경기는 하강을 보이는 모습이다. 이를 토대로 다소 과장된 해석을 해보자면 미국 경제에 있어 4% qoq 성장률은 과열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이다.

http://dalmitae.blogspot.kr/2014/06/1.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4/07/2q-14-us-gdp-advance-estimate.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4/12/gross-domestic-product-third-quarter.html

그런데 이젠 경기의 큰 변동과 더불어 경제확장의 폭이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는게 보인다. 더해서 민간소비의 확장폭도 완만한 감소를 보인다. 반대로 정부지출은 확장하고 있다. 투자 기조도 확장도 완만한 하강을 보인다...





http://dalmitae.blogspot.kr/2016/04/consumer-price-index-sales-production.html

과거 미국의 경제를 보면 실질소득이 정체 혹은 하락을 보이고 실질소비가 하락을 보일 때면 경기침체가 찾아왔다.

미국의 물가는 앞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이전 글에서 언급했다. 그렇다면 실질소비와 실질소득의 상승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 역시 크다. 물가보다 소비와 소득이 성장하지 못하면 하락기조를 보일테다.



다행이라면 아직 장단기차 금리는 마이너스를 띄지 않고 있다. 과거를 비추어 볼 때 아직 시간이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추세적 하락이 예상된다. 

경제사이클은 크게 회복 - 상승 - 하락 - 침체 4단계로 나뉜다. 앞으로 나오는 경제지표들은 어떤 사인을 보이게 될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본 지표만 가지고 말한다면 지금은 하락 그 중에서도 완만한 둔화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역시 포트조정과 전략수정은 계속해서 이어가야 할 듯 싶다.. 더해서 너무 욕심을 부려서도 안되겠다는 생각이다.. 

2014년 10월 21일 화요일

Apple 3q(4q) Earning



애플은 9월이 마지막 회계년도(4q)이지만 내가 임의로 3분기로 작성했다.

이익률이 14년도에 들어와 13년 대비 소폭 상승 혹은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었는데 이번 3분기엔 이익률이 소폭 하락했다. 다만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2.4% 증가하면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다 전년동기 대비 증가한 모습이다. 매출증가의 원인으로 아이폰6와 6플러스가 언급되고 있는데 이들이 9월 19일에 발매가 시작됐음을 고려하면 다음분기 실적은 기대감을 갖게 한다.

14년도에 들어와 애플은 13년의 부진을 털어내는 모습이다. 전년동기비 실적도 그렇고 1,2분기 이익률도 전년동기비 소폭 상승한 모습이다.

IBM의 실적이 좋지 않지만 업계 1등인 애플이나 구글 모두 실적만 두고 볼 때 단단하다.
미국의 경제가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또 다른 반증이라고 본다....




2014년 10월 18일 토요일

Google 3q Earning




구글의 실적을 볼 때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생각난다...
거짓말처럼 너무 착실하게 성장해서 투자하는 이들이 두려울 이유가 없다...
너무 반듯해서 이젠 조금 궁금해진 지금...





모토로라의 매출을 제하고 봐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14년 7월 8일 화요일

SEC 2Q earning


2분기 삼성전자 잠정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액 52조 영업이익 7조.
영업이익 7조는 12년 3q 이후 처음이다.

주된 원인은 성숙기에 진입한 스마트폰 시장이다.
앞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경쟁이 과열될테고 수익성은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다.
새로운 시장이 필요하다.

얼마전 스마트폰 순위를 매긴 뉴스를 보았는데 놀라웠던 것은 HTC 스마트폰이 삼전을 누르고 2위를 했다는 것이다. 한 기관에서 발표하는 것인 만큼 전적으로 신뢰하긴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제품이 고평준화 되면서 이젠 브랜드 충성도가 중요해진 시점이다.


아래는 삼전의 2분기 설명자료

〈2분기 관련〉

□ 2분기 전사 실적 약세
- 2분기 전사 실적 약화는 2분기중 지속된 원화 강세,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판매 감소 및 재고 감축을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 무선 제품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 약세에 주로 기인.

□ 환율 영향
- 달러와 유로화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흥국 통화에 대해
원화 강세가 지속되어 전사 실적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무선 사업 실적 약세
- 스마트폰은 시장 성장률 둔화 속에서 특히 중국 및 유럽 시장내
업체간 경쟁 심화로 중저가 스마트폰의 유통 채널내 재고가
증가하며 2분기 Sell-in 물량 하락.
따라서 3분기 성수기 및 신모델 출시를 대비하여 유통재고를
축소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다소 공격적으로 집행.
· 중국은 비수기 영향, 하반기 4G LTE 확산 앞둔 3G 수요 약세,
로컬업체의 공격적 가격경쟁 심화 등으로 유통 채널내 재고 증가.
· 유럽은 40% 수준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 오던 중,
2분기 수요 약세 지속으로 유통 채널 재고 부담 상대적 가중,
2분기 Sell-in 하락으로 이어짐.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다소 크게 하회하는 상황 속에서
실적 발표일까지의 시장과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우려 완화 및
이해도 제고 목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고자 함.- 2 -
- 태블릿의 경우, 전반적인 시장 수요 부진으로 인해
판매 감소가 예상 대비 확대됨.
· 스마트폰과 달리 사업자 보조금 효과가 미미해 교체 수요 부진
· 5"~6"대 대화면 스마트폰 판매확대가 7"~8"대 태블릿 수요 잠식 등
- 따라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신제품 출시 관련 마케팅 활동 외
유통 채널내 재고 감축을 위한 Sell-out 프로모션을 강력하게 집행,
전분기 대비 마케팅 비용이 다소 크게 증가, 실적 하락에 큰 영향

□ 무선 제품 수요 약세에 따라 시스템LSI와 디스플레이 사업도
직접적 영향을 받아 판매감소, 수익성도 예상대비 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