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CAP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CAP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2월 5일 월요일

미국상황 그리고 증시의 수준

미국 물가를 이해하는데 지금까지 내가 찾은 가장 좋은 지표는 비내구재와 수요공급의 차이다. 

물가란 결국 물건의 가격이다. 그리고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수요가 공급보다 크면 가격이 오르고, 작다면 가격이 내린다. 이와 완전히 부합하는 이론은 아니지만 상대적 크기차를 통해 물가를 이해하면 좋은 그림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건 수요와 공급을 무엇으로 대표하는가 하는 문제인데 나는 수요는 소비 공급은 소득으로 두고 이 지표를 이해했고, 수요(소비)yoy - 공급(소득)yoy를 구해보면 실제 미국 물가의 yoy를 잘보여준다. 





특히 수요와 공급의 차는 수준을 이해하는데도 좋은 지표가 되는데, 장기시계열을 통해서 보이는 공급의 증가율과 수요의 증가율간 차이는 결국 시장이 두지표간 괴리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이해하는 좋은 수단이 된다. 조심해야 할 부분은 수준이라는 것은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 거품의 크기가 다르듯, 상황에 따라 괴리도 크게 벌어질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미국의 수요증가율과 공급증가율의 괴리는 5%를 근접하거나 넘어설 때 한계가 오는 모습이 종종 보여진다.

그것을 감안하고 볼 때 현재 물가상승 압력은 아직도 여유가 있다. 특히 비내구재소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본다면 물가는 앞으로도 우상향 할 가능성이 있다.




소득, 소비, 생산, 실업, 선행지수
반등과 반락의 가능성이 모두 보이는 지표들.
이들 지표를 보고 단기간내 경기충격을 예상할 사람은 없다고 본다. 아직 어떤 사인도 없는 시장...




소득과 소비를 보면 소비는 하락세가 그치고 횡보구간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소득이 추세전환으로 인식 될 만큼 강한반등세를 보여주지 못하는 지금, 소비가 크게 반등할 것이라 예상하기 어렵다. 앞으로 3~4달 사이면 추세적 방향을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증시가 급락한 후 한국증시도 크게 빠졌지만 아직까지 경제적인 위험 싸인은 보이지 않는다.





미국 증시의 수준은 다소 위험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이전에도 확인했던 바다.
http://dalmitae.blogspot.kr/2017/11/blog-post.html



전에도 언급했지만 개인적으로는 결국 금리가 많은 것들을 이해시켜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http://dalmitae.blogspot.kr/2017/12/blog-post.html
하지만 채권은 여전히 더 싸다.과거 4개의 거품(28, 69, 00, 08)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키는 금리가 쥐고 있다고 본다. 국채금리와 그 장단기차를 중요하게 추적해야 한다..

쉴러교수가 4분기 실적 자료를 업데이트 하지 않아, 3분기와 같다고 가정한 후 차트를 그리면 국채수익률(금리)와 주식기대수익률간 차이가 많이 줄어들고 있음이 보인다. 속도도 빠르다. 이는 근래 국채금리의 상승세에 따른다.

물가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금리상승을 이끈다면 충격은 조금 더 빠른 시간에 올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은 아니다.




다행이라면 장단기 금리차는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뭐가 두서 없지만 현재 미국은

1. 물가는 우상향 할 가능성이 크다. 속도는 모르겠다.
2. 경제지표는 어지럽지만 하락을 예단하기 어렵다.
3. 미국 증시는 고평가 되었다고 본다. 하지만 아직까지 채권과 비교해 상대적 기대수익률이 높아 당장 하락이 가속화 될 것이라 예상하기 어렵다. 문제는 금리!

결론은 간단하다.

예단해서 좋을거 하나 없음을 알지만,, 아직은 터질 때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끝은 분명 있을테다.

2017년 12월 27일 수요일

미국상황 검사




미국의 leading index가 State Coincident Indexes의 수정으로 인해 같이 수정되어 발표되었다. 최근의 데이터가 많이 수정되었는데 종전의 데이터는 하락추세 가속을 보여주었다면 이번 수정 데이터는 급반등한 모습을 보여준다. 추세적 하락이 멈췄다고 해석하긴 이르지만 반등의 폭이 매우 크다.




소득, 소비, 생산, 고용 지표를 보면 모든 지표가 반등하는 모습이 보인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yoy 지표이니 둔화되던 확장이 다시 힘을 받은 모습. 하지만 이 반등이 추세적 하락을 깼다고 말하기엔 이르다.

가장 눈에 띄는 경기선행지표(leading index). 수정된 경기선행지표는 크게 반등하긴 했지만 아직 추세적 하락을 벗어난 것은 아니다.







소득과 소비차트.

개인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이 소득지표들은 고용을 감안한 지표이기에 태풍의 충격이 반영됐다. 하지만 바로 충격이 완화되며 확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확장감소 추세가 반전되었다고 해석하기엔 이르다.




과거 leading index는 신규주문, 재고, 산업생산, tech pulse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금융위기 이후 이들간 상관관계가 매우 약해졌다. 그나마 yoy로 그려서 보면 상관관계가 보이지만 과거처럼 leading index가 선행하는 모습은 분명 아니다. 오히려 후행하는 모습이 더 또렷하다.

신규주문, 생산, tech pulse를 이해하는데 leading index의 효용은 없다. 하지만 아직 경기침체를 이해하는데엔 유용하다고 본다.




실업률, initial claim이 바닥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직 payroll만이 경기의 후반부를 알리는 모습이다.
지난 2번의 충격에서 payroll이 initial claim보다 먼저 바닥을 보였음을 기억하면 계속 추적하며 지켜봐야 할 것. payroll은 경기 후반을 암시하고 있다.




손을 좀 댄 신규주택 지표도 추세적 하락에서 미약하지만 반등의 모습이 보인다.




장단기 금리차는 계속해서 하락 추세.
속도가 문제인데, 현재 추세라면 18년 금리차 역전도 가능하다.





물가는 상승여력이 충분히 있어보인다. 단일지표 그리고 두 지표간 차 모두가 반등하는 모습. 15년부터 시작된 소비확장의 반등은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

종합해서 보면 확장의 추세가 약해지던 미국의 경기는 다시금 힘을 받는 모습.

금리인상이라는 카드가 다시 나오면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지만 지금같은 모습이라면 금리인상이 미국 경제를 다시 끌어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보인다. 오히려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는 모습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다시 거품이 된다.

거품을 논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긍정의 만연 혹은 비이성적 과열이 될테다. 개인적으로는 요즘의 비트코인을 예로 드는데 현재 미국의 경제에 대해 긍정이 만연해 있는지 궁금하다...




쉴러지수는 분명 위험하다...
다시 말하면 주식의 기대수익률이 너무 낮다.



하지만 채권은 여전히 더 싸다.
과거 4개의 거품(28, 69, 00, 08)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키는 금리가 쥐고 있다고 본다.
국채금리와 그 장단기차를 중요하게 추적해야 한다..

2017년 10월 3일 화요일

그래도 ISM 보다는 LI...??





ISM제조업지수(PMI, NOI)가 또 다시 잘나왔다.
이 기세라면 14년 고점도 뚫고 03년 최고점을 향해 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몇 분들 사이에서 보인다. 이런 추세라면 한국의 수출도 크게 우상향할 가능성이 크다.




ISM 제조업 PMI, 신규주문, 한국 제조업 업황, 생산, 신규주문실적, US leading index, 미국 제조업 신규주문 금액을 모두 ttm으로 바꾸고 차트를 그려보면 재미난 그림이 그려진다.

1. 미국 제조업 신규주문 금액 ttm과 한국 수출 ttm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보인다.
2. leading index와 ism 지표간 상관관계가 근래 많이 낮아졌다. 어쩌면 후행하는지도 모르겠다.






문제는 leading index의 하락세.

ism 제조업이나 미국제조업지수가 중요한 것은 한국 수출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인데, 이들은 정작 미국의 경기침체를 이해하는데 부적절하다. 오히려 경기침체는 leading index를 통해 이해하기 더 쉽다.

leading index뿐 아니라 다른 경제지표들도 전반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http://dalmitae.blogspot.kr/2017/09/blog-post_18.html

잘나오는 것은 잘나오는대로 그냥 지켜보면 그만이다. 개인적으로 수출이 갑자기 고꾸라질 이유도 없다고 본다. 다만 지금은 다른 지표들이 하강추세를 보이고 있으니 ism에 기대어 있어선 안된다.






아직 업데이트를 안했지만 CAPE는 이미 30을 넘었고, 배당을 감안한 주식기대수익률은 08년 수준까지 도달했다. 쉴러교수가 언급한대로 현재 주가는 매우 높다. 더해서 쉴러교수가 발표하는 벨류에이션 신뢰지수도 매우 낮은 수준까지 내려왔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국채와 비교한 수익률차. 이는 아직 과거 고점들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1년 미국채 금리가 올라가고 있고 10년 국채금리도 바닥을 찍었다고 본다. 그럼 기업의 수익이 정체되고, 주가가 더 오르게 된다면 국채와의 비교우위도 빠르게 줄어들 수 있다.

여러모로 피곤한 시장.....

2017년 8월 7일 월요일

쉴러의 CAPE와 주식기대수익률 그리고 국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 예일대학교 교수가 뉴욕증시의 급락 가능성을 경고했다.

쉴러 교수는 27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최근 주가 상승은 기업 실적에 대한 과도한 반응에서 빚어진 결과"라며 "변동성이 지극히 낮은 데다 주가수익률(PER)은 설명하기 어려운 영역까지 상승해 앞으로 대규모 시가총액이 증발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자신이 고안한 경기조정주가수익률(CAPE)이 30을 뚫고 오른 점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쉴러 교수는 말했다.

CAPE가 30을 넘어선 것은 지난 1929년 대공황과 2000년 전후 닷컴 버블이 무너졌을 때였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최근 지표를 가볍게 여기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할 것이라는 이 나라 대통령의 발언이 실제 이뤄진다면 주식시장이 과거와 전혀 다른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며 "하지만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사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727000302



쉴러 교수의 CAPE(쉽게 말하면 10년간 평균 PER)는 현재 역사상 3번 째 높은 수준으로, 27년, 00년만 30을 넘어섰음을 감안할 때 지금은 매우 높은 수준이 분명하다.

그런데 이를 1/PER 즉 주가기대수익률로 바꿔서 보면 어떨까? 그리고 기대수익률과 국채와의 차를 그려보면 어떨까?

http://dalmitae.blogspot.kr/2017/06/bond-and-stock.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7/03/gs-rate-and-cape.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7/02/blog-post.html


(참고: +D는 배당을 감안한 주식기대수익률)

참고로 국채수익률에 물가를 빼어 실질 수익률과 실질 주식기대수익률의 차를 구해도 된다. TIPS를 사용하면 더 좋다. 다만 TIPS는 데이터가 짧고, 현재의 수준을 이해하는데 이 정도면 된다고 판단해 그냥 이정도 수준에서 본다.

주절주절 내용 쓸 거 없이 결론만 말하면

국채 수익률이 너무 낮아 CAPE는 비록 높지만 아직 주식이 매력이 있다고 판단됨.

2017년 3월 27일 월요일

GS Rate And CAPE

배당 조정 전 


배당 조정 후

보통 주식은 위험프리미엄이 붙어 채권보다 비싸게 거래된다. 이를 위험프리미엄이라고 부르는데 난 이를 조정할 능력이 안되니 패스. 또 이미 프리미엄이 모두 붙어서 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볼 수도 있다. 

그냥 국채 수익률과 주식 기대수익률의 차를 구하고 이를 과거와 비교해 현재의 수준을 이해하는 정도에서 마무리 할 용도. 

숫자 년수, GS는 국채수익률, e/p는 주식기대수익률.
따라서 10 gs-e/p는 10년 국채수익률과 10년 주식기대수익률의 차를 의미.
앞서 언급한대로 이론적으로 주식에는 위험프리미엄이라는 것이 있으니 프리미엄을 감안하면 국채수익률과 주식수익률의 차는 더 줄어들 수 있다. 

위의 차트는 배당을 조정하지 않고 구한 차이를 그린 차트이고, 아래는 배당을 조정한 후 구한 차이를 그린 차트. 

거두절미하고 위 차트를 보고 내리는 결론

1. 90년대 주식의 거품은 정말 컸다.
2. 09년 금융위기가 촉발한 주식시장 충격은 앞선 50년대 70년대 발생한 충격 이후 가장 큼.
3. 위 내용만 두고 봐서는 미국의 주식시장은 거품과 거리가 멀다. (물론 반대의 결론이 나는 다른 지표들이 있다; 시총과 생산,m2 간 비율)

과거 많은 글에서 거품이 만들어질 가능성을 이야기 했는데 이번 결론 역시 앞으로 거품이 만들어질 가능성 농후.


위 자료는 로버트쉴러 교수의 블로그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