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8일 일요일

Default And Then Grexit?

그리스

Greeks are withdrawing money from ATMs faster than they can be replenished

그리스 국민투표 디폴트 가능성 커져

-

아래는 내 맘대로 소설.






그리스 국민들을 보면 참 답답하다.

그들이 체감하는 경제는 나빴을지 모르지만 경제는 느리지만 분명하게 회복하는 과정에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의 이익이 조금이라도 줄어드는 것에 반대하며 시리자정권을 대표로 뽑았고 지금의 상황을 만들었다. 즉 조금 해봤는데 뭐하나 좋아지는게 안보이고 너가 손해보는건 괜찮아도 내가 손해보는건 죽어도 싫다 요런거다. 그리고 결과는 2분기 연속 경기하강...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각 국이 도와주고 그리스 스스로 긴축과 구조조정을 통해 자생하는 법인데 꼬라지를 보니 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이런 나라는 그냥 디폴트 시키고 도움도 주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마치 경쟁력이 없는 기업은 시장에서 사라지도록 냅두는 것과 같이 그리스에 추가적인 도움을 주지 않고 디폴트를 하든 뭘 하든 그냥 두는 것이다. 스스로 노력하지 않은 나라에 돈을 줘봐야 밑빠진 독에 물 붙는 꼴일 뿐이니까. 오히려 도울 수록 손해만 늘어난다.

많은 전문가들이 말하길 그리스의 디폴트가 가져올 충격은 많이 작다고 한다. 사실 나 역시도 막연히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고 그런 이유로 과거 "디폴트는 있어도 유로존 탈퇴는 없다"는 말을 했다. 또 "디폴트가 있어도 짧은 기간"이 될 것이라는 말도 했었다.

그리스의 디폴트가 있어도 짧은 기간이 될 것이라는 것은 결국 그리스 문제는 경제적인 문제를 넘어서 정치적인 문제와 더 가깝다고 보기 때문이다.

끝까지 몰린 그리스가 디폴트를 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세계경제에 큰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땐 그리 큰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유로존 안에서 그리스의 경제규모가 2~3% 정도로 미약하고 처음 그리스사태가 발생한 후 많은 준비가 있었을 것이라 본다. 또 채무도 대부분 공공분야에 한정돼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보면 이야기는 또 다르다. 쉽게 자국민의 돈을 그리스 거지들에게 내어주는 무능한 지도자가 될 수도 없다. 하지만 그리스가 유로존 탈퇴를 결정한다면 이는 다른 나라들의 연쇄적인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야기하고 결국 유로존의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유로존의 실패는 다시 각 국의 정치적 경제적 위험을 의미한다. 이런 결과 역시 유로존 지도자들이 원하는 결과는 아닐테다.

따라서 유로존 정상들이 그리스의 채무탕감을 쉽게 결정하기 힘들다. 이것이 바로 그리스의 디폴트 가능성이 있었던 이유이지만 동시에 "그리스가 유로존에 잔류하면서도 디폴트가 장기화되는 상황과 유로존 탈퇴가 모두 큰 부담이 될텐데 그리 쉽게 그리스를 포기할 수 없다. 그러니 디폴트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그리스를 구제하는 방향으로 유로존 전체가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2015년 6월 26일 금요일

We Cannot All Be Masters.....??!?

"엘리엇, 최악 투기꾼… 국익 생각해야"

“경제정의란 국제 기업 사냥꾼들에게 약탈당할 가능성이 높은 국내 우량 기업을 보호하는 것이다.” [...]

“엘리엇의 행동은 기업 가치와 거리가 먼 국제 알박기 펀드”라고 비판했다. 그는 소액주주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주장에 대해 “반기업 정서를 파고들기 위한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



경제정의가 뭔지도 모르겠지만 경제정의의 정의가 국내 우량 기업을 보호하는 것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그저 웃는다..

또 엘리엇이 소액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든지 말든지 사실 그들의 의도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들 역시도 주주이고 자신의 이익에 반대되어 반대하겠다는데 무슨 말들이 이리도 많은지. 주주가 자기 권리를 내세우는데 그것이 잘못된건가? 정말 삼성은 이병철 이건희 이재용이네 집안이 소유한 기업인가? 그래서 그들 말이라면 손해도 감수하고 네 알겠습니다 해야 하나?

그리고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비율이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나?

삼성물산이 그렇게 가치가 낮은가?
아니면 제일모직의 가치가 그렇게 높은가?

삼성과 엘리엇의 싸움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나로선 이들의 싸움을 그저 흥미롭게 바라보고 있지만 점점 삼성이 비호감스럽다. 에버랜드를 통한 편법 증여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뭘하는건지...

전문가란 사람들은 삼성에게 아부하는 모습만 보이고 나라 꼴이 참 우습다.

문득 얼마전엔 복재성이란 인물이 2015 대한민국 인물 대상을 받았다는 뉴스를 보았다는 것이 떠오른다. 이사람 밑에서 일했던 이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데 또 그저 웃는다...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점점 더 비상식적인 세상으로 변해가는것 같다.

오늘은 갑자기 비상식 가운데 빛났던 노오래가 생각난다..

2015년 6월 25일 목요일

LG Electronics And Hyundai Motor Company


금융위기 이전까지 승승장구 했던 LG전자의 주가가 이젠 끝을 모르고 내리고 있다.

LG전자가 이렇게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데엔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시장에 너무 늦게 반응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반면 Fast Follower 전략을 쓰는 삼성은 스마트폰 시장의 가능성과 아이폰의 성공 가능성을 보고 발빠르게 반응하며 세계적인 기업이 되어버렸다.

새로운 시장의 출현은 모든 기업에게 공평한 기회이자 위험이 된다. 특히 이 새로운 시장이 기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을 바꿀만큼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면 이는 시장의 권력과 부도 쉽게 재분배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새로운 시장은 늘 중요하고 또 중요하다.

전자제품 시장이 스마트폰을 통해 큰 변화가 있었다면 자동차 산업에서도 친환경차라는 새로운 시장이 기존 가솔린 엔진을 대체하며 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직 하이브리드(플러그인), 전기차, 수소차 중 어느 것이 새로운 시장을 주도하게 될 지 알 수 없다. 다만 테슬라를 제외한 굵직한 자동차 회사들이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며 시장을 공고히 하는 것을 보니 일단은 하이브리드가 앞서나가고 있다 보여진다.

그럼 우리나라 자동차 회사인 현대차는 내가 느끼는 이런 변화에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이런 변화에 빠르게 반응할 만한 기술력은 있을까? 그리고 그 기술력은 경쟁력이 높아 새로운 시장이 꽃 피면 지금보다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과거 09년 학교에 복학해서 처음 눈에 띈 것은 과거와 달리 거리에서 어렵지 않게 눈에 띄는 현대차였고 단순히 이런 이유로 현대차 주식을 샀었다. 보통 사업에도 관성이라는 것이 있어 한동안 미국에서 성장할 수 있다고 봤었다.

하지만 지금은 배당을 제외하곤 딱히 마음에 드는 미래가치가 없다. 내수시장에서는 외제차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고 중국 자동차 기업의 성장과 일본 자동차 기업의 반격 그리고 한전부지를 고가에 매입한 반면 R&D 투자에 소홀한점 등 모두 부정적인 모습이다. 다만 현재가치에 비해 많이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할 뿐이다.

특히 R&D 투자가 다른 자동차 기업과 비교해 낮다. 기술력이 다른 상위 기업들과 비교해 높은 편이 아님에도 R&D 투자가 낮은 것은 스스로 경쟁력을 깎아 먹는 짓이다. 다행히 MK가 R&D투자를 늘린다고 발표했으니 기대할 뿐이다.



 주요 10개 자동차 회사의 R&D 증가율 및 비중

Gross Domestic Product: First Quarter 2015 (Third Estimate)



Real GDP decreased 0.2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of 2015, in contrast to an increase of 2.2 percent in the fourth quarter of 2014.  The downturn in the percent change in real GDP reflected a deceleration in PCE and downturns in exports, in nonresidential fixed investment, and in state and local government spending that were partly offset by upturns in private inventory investment and in federal government spending and a deceleration in imports.

http://www.bea.gov/newsreleases/national/gdp/gdpnewsrelease.htm

이전 글
http://dalmitae.blogspot.kr/2015/05/us-gross-domestic-product-first-quarter.html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경기 변동폭이 전보다 조금 줄어들었다는 점..?
그래도 여전히 경기의 변동폭이 커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

2011년 이후 GDP와 투자별 그리고 민간지출간의 상관관계


민간소비와 투자는 계속해서 단단해 보인다. 다만 경기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건설경기가 좋지 않은 점이 조금 마음에 걸리는데 아직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9월 금리인상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일단 2분기 경제성장률이 중요하다고 본다. 우선 경기가 상승반전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변동폭도 그리 크지 않아야한다. 일단 지켜보자.

2015년 6월 16일 화요일

일본 경제





Nikkei Business Daily에 따르면 일본 제조업 기업의 15년 실적은 14년 대비 17.3%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제조업의 실적호조로 설비투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과거와 달리 눈에 띄는 것은 설비투자가 과거 해외에서 많이 이뤄졌던 것과 달리 일본 국내를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소니는 반도체 센서를 중심으로 43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인데 이는 전년비 161% 증가한 수치이다.

이런 제조업체들의 자국내 투자 증진은 장기적으로 내수경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특히 고용창출과 국내 산업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일본 기업들의 투자 추이와 그에 따른 경기의 방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15년 6월 15일 월요일

소매업태별 판매액지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군별 거래액


 온라인쇼핑몰 상품군별 거래액-1
온라인쇼핑몰 상품군별 거래액-2

메르스로 인한 온라인 쇼핑의 추이 변화를 지켜볼 생각.

2015년 6월 2일 화요일

Gross Domestic Product: First Quarter 2015 (Second Estimate)




미국의 경기변동이 심하다고 했는데 1분기 미국의 경제성장률 잠정치는 그 변동폭을 더 키웠다. 잠정치는 -0.7%로 아예 하락해버린 것이다.

이런저런 지표들은 아직까지 회복과 성장에 무게가 가고 있지만 또 나 역시도 아직은 괜찮다고 보고 있지만 계속해서 보여지고 있는 경기변동은 무시하기 어렵다.

이런 가운데 옐런의 금리인상 발언은 쉽게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적어도 2,3분기 성장률을 확인하지 않고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 생각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난 옐런의 이런 발언은 큰 틀에서 미국이 경기 회복을 보이고 있고 시장에 스트레스를 조금씩 주면서 정말 금리인상이 발생했을 때의 충격을 가늠하고 그 충격을 줄이려는 행동이 아닐까 한다.

2015년 6월 1일 월요일

대상포진 Herpes Zoster

한 10일 정도를 대상포진이라는 병으로 크게 앓다가 이제서야 몸을 좀 추스리게 되었다.
젊은 혈기에 고통은 참을수 있다고 약만 먹다가 병변이 신경을 타고 눈가와 귀가에 전이되어 자칫 시신경과 고막까지 전이 될 뻔 했다..

대상포진이 걸리는 원인은 "주로(세포매개성)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고령, 면역저하제 사용, 이식, 에이즈 등)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 에이즈, 항암치료, 방사선용법, 이식 후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경우, 장기간 스테로이드 복용하는 경우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고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우리 몸의 면역력이 약해 졌을 때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다음 사전)

대상포진은 신경을 따라 피부로 나오는 병인 만큼 신경이 있는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는데 나는 좌측 눈썹과 이마 사이에서 처음 병변이 나타났고 눈가와 귀가에까지 퍼졌다.

통증은 첫 3일은 편두통과 비슷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후 물집이 생기고 나서는 찌르는듯한 통증의 편두통과는 조금 다르게 칼로 썰리는 듯(?)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타이레놀과 같은 일반적인 Pain-killer는 효과도 없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대상포진은 예방주사가 있다고 한다.

혹시 대상포진에 아직 걸리지 않으신 분들 중 어린 시절 수두에 걸린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예방접종을 맞으시길 추천드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