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ISM Manufactur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SM Manufactur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11월 8일 목요일

내수도 수출도 모두 어렵다.





밀어내기 등 여러 노이즈가 있지만 수출이 한국 경제를 지탱해줄 수 있을지...
ISM 지표가 모두 하락, 마찬가지로 제조업지수도 같이 따라가는 모습.

경제의 두 바퀴는 내수와 수출.
그런데 계속된 내수부진에 수출 또한 더 증가할 기대가 난망하니 투자도 위축된다.
더불어 세계 경제는 자국 우선주의로 항로중...



건설 설비 모두 qoq 기준 큰 폭 역성장.
건설경기의 qoq 하락은 2000년 이후 가장 큰 역성장.
설비투자는 반등하는 모습이나 역시 지난 분기에 이어 크게 역성장 중.

qoq가 경기의 방향을 의미한다면 yoy는 경제의 확장과 축소.




경제의 확장 동력이 사라졌다.
yoy로 보면 투자는 실종됐다고 봐도 무방.
00년 이후 08년 금융위기 다음으로 투자 상황도 어렵다...

이럴 때 보면 JY은 부모 잘만났지만 시기도 잘만났다.
내 생각엔 이번 정부는 절대 삼성을 두드려 패지 못한다.
오히려 어루고 달래야 할 지경...
아니면 트럼프처럼 매드독 작전으로 강공하게 나간 후 당근으로 유인해야 하나?? ㅎ

다른 경제 위험 국가들보다 주가가 더 많이 빠졌다고 언론에서 말이 많다.
하지만 경제는 늘 상대적인 모습이 중요.

나쁜 나라가 더 나빠지는 것보다,
그나마 뭐 하나 가지고 있던 나라가 그 무엇 하나를 잃어버릴 듯 위험해 보이면 상대적으로 더 안좋게 보인다.

사람들 사는데 먹고 사는 문제보다 중요한게 또 뭐가 있을까?
배고픔 앞에 사랑이 존재할까?
뭐 그것도 배고픔이 지속되어 배고픔이 일상이라면 또 모르겠다.
하지만 여기서도 "상대적"이 또 나온다.
즉 잘살던 사람이 추락하면 더 힘들다.
내가 볼 땐 지금 정부는 자꾸 나눔을 강요해서 도움될 거 없다.
경제나 살리라는 말만 나올 뿐.

난 벌써 한 17년 초부터 미국 경제의 호황(?)이 끝나고 하락으로 바뀔것 같다고 말했다.
그런데 왠 걸... 미국 경제는 여전히 하방으로 갈 생각이 없어보인다.


특히나 눈에 띄는건 생산과 소비.


소비와 소득이 일시적로 반등하는지는 모르겠다.
아직 추세적 하락을 벗어났다고 말하기엔 이른 감도 있다.
하지만 9월의 반등은 꽤나 인상깊다.
소득이 받쳐주면 소비는 유지가능하다.
소비가 받쳐주면 경제는 유지가능하다.

피터린치는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신념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미국이 살아남을 것이라는 믿음.

지금 이 말은 내게도 필요한 말이 아닐까 싶다.

주식시장 말이 나와서 PER, PBR, 금리-주가수익률 차트도 올려본다.




경제는 개판이지만 이렇게 보면 지금은 주식을 사야 할 때로 보인다.
지금은 한국 경제가 다시 도약할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한 때다.

2018년 1월 4일 목요일

ISM Manufacturing, Leading Index, 수출





yoy기준 ism 지표 모두가 꼬리를 틀며 상승추세가 꺾였고, 원지표도 과거 최고점 수준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증가속도가 감소할 것을 의미하지 수출의 감소를 의미하지 않는다. 실제로 과거 ism new order 지표가 고점을 찍은 후 천천히 감소했지만 수출은 반대로 금융위기 전까지 계속해서 증가했다. 당시 한국의 제조업 생산, 신규수주실적은 꾸준히 증가했음을 눈여겨 보자.

고민되는 부분은 한국 제조업업황 지표 수준. 업황, 생산, 신규수주 모두가 11,12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수출의 행방은 이들 지표가 가르게 될 것으로 본다.






또 하나 걱정되는 건 미국의 leading index.
수정 후 큰 폭으로 반등했던 leading index는 추세적 하락세를 계속 유지하며 소폭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러 많은 지표들은 추세적 하락을 벗어나지 못한 모습으로, 경기 후반부를 예상하게 한다.
증시는 이런저런 말이 많지만 개인적으로 금리가 많은 것을 이해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