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가계금융 복지조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가계금융 복지조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월 22일 일요일

16년 가계금융 복지조사를 보면서.



언론은 가계부채가 위험이라고 하지만 이렇게 비교해서 보면 그리 크지 않다.
부채의 총량은 순자산의 20% 수준이고 금융부채는 15% 수준이다. 금융부채와 금융자산의 비율을 보아도 아직 50% 안되는 수준이니 위험이라 말하기엔 아직 한참 낮은 수준이다.

종종 가처분소득과 부채를 비교하는 글이 보이지만 가처분 소득과 비교하는건 의미가 없다. 오히려 원리금 상환액과 가처분 소득을 비교하는 것이 더 옳다. 그리고 원리금상환액과 가처분소득의 비율 역시 낮은 수준이다.

다만 우리가 신경써야 할 부분은 총량간 비교가 아니라 '부채비율'과 '원리금상환액과 가처분소득의 비율'이 해가 갈 수록 증가하는 모습이다.

특히 원리금상환액/가처분소득은 13년 이후 매년 계속해서 오르고 있고 현재는 약 27%까지 오른 모습이다. 이자만 내는 가구도 많아 원리금상환액/가처분소득을 그대로 해석하기는 어렵지만 이렇게 이 비율이 올라가는 것은 소비에 좋지 않다고 합리적인 생각을 해볼 수 있다.

비율이 아닌 가처분소득과 원리금상환액의 차를 구해 연도별로 그려보면 완만하게 하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우리나라도 덩달아 인상하는건 아니지만 금리는 앞으로 오를 확률이 높다고 본다. 그렇다면 원리금상환액은 더 무거워질 수 있다.

2015년 12월 21일 월요일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근래 가계부채 문제가 언론에 계속해서 올라온다.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도 종종 눈에 보이기도 한다.

그런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들을 보면 대체로 부채의 총량과 그 증가액 혹은 금융부채/가처분소득을 언급하는데 힘을 쏟는데 부채는 총량도 중요하지만 속도와 상대적인 크기가 더욱 중요하다.

오늘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확인해보면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언론이 그리고 종종 정부가 말하는 위험은 아직 먼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많은 사람들이 '(금융부채 혹은 부채)/가처분소득' 비율을 언급한다. 하지만 우리가 금융부채를 일시상환하는게 아니라면 위 비율은 의미가 없다. 내가 중요하게 보는 비율은 부채/자산, 부채/순자산, 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 3가지 이다.

부채/자산 = 18%
부채/순자산 = 22%
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 = 24%

위 비율을 보면서도 부채가 위험해보이나?
적정 가계부채비율에 관한 연구논문을 본적이 없어 무어라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또 위험을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 존재하니 더 설득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내게 위 비율은 위험수준이 아니다. 순자산의 22%밖에 안되는 부채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결코 안든다.



소득분위별 부채비율을 보면 특이하게도 부채비율은 4분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분위의 부채비율은 가장 낮다.





금융부채의 구성을 보면 담보대출이 57.3%로 14년과 비교해 1.5% 상승했다.







아래는 빈곤지수에 관한 내용에서 발췌.


가구원수가 증가할수록 가구의 빈곤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근로연령층가구의 빈곤율은 아동이 없는 경우는 12.9%, 아동이 있는 경우는 10.1%임

은퇴연령층가구의 빈곤율은 취업자가 없는 경우 73.6%이나 취업자가 있는 경우 30.8%로 나타남

성별 빈곤율은 남자 14.3%, 여자 18.3%로 나타남

교육수준별 빈곤율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 26.1%, 중학교 졸업 21.8%, 고등학교
졸업 14.5%, 대학교 졸업 이상은 7.2%로 나타남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122511&boardBean.menuid=559&boardBean.rnu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