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미분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미분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7월 14일 금요일

서울시 주택가격, 미분양, 착공, 준공



계속해서 내가 확인할 수 있는 통계기간 내 가장 낮은 미분양수를 기록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수가 주택가격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만큼 이들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눈여겨 봐야 할 것은 과거 07년 수준보다도 더 낮은 미분양수를 보여주고 있는데 가격의 상승 속도는 훨씬 완만하다. 더 장기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다.




착공과 준공 그리고 그 둘의 차.

1년치 착공 계획안이 있다면 주택가격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q. 과거부터 착공증가 = 공급증가라는 표현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내가 아는게 맞다면 착공은 재건축을 포함하고 있고 아파트의 경우 완공까지 2년이 조금 넘는 시간이 걸리는 것 그리고 서울은 착공중 많은 수가 재건축이라는 걸 생각하면 착공증가 = 공급감소가 되어야 하는데 어째서 공급이 증가한다고 표현할까?


2015년 11월 1일 일요일

서울 주택착공과 준공 그리고 미분양주택과 아파트 실거래가격.

아파트 가격에 대한 실험 -1 

주택준공과 착공의 차이에 따른 아파트 실가격지수 변화가 있는가? 








실거래가격은 우측 그리고 상하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