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leading indicato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leading indicato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7월 11일 월요일

Leading Index


선행종합지수가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지수를 yoy로 변환한 지표이고 나머진 OECD에서 발표한 선행지수를 yoy로 변환한 지표이다. 위 차트를 보면 OECD에서 발표하는 선행지수가 심지어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표하는 선행지수보다 더 선행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그래서 찾아본 두 기관에서 각각 발표한 지표에 관한 설명.

우리나라는 6/30일 경기지수가 개편되었다. 특히 선행지수의 개편은 많은 분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셨다.

제9차 경기종합지수 개편 및 최근의 기준순환일 설정 결과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5484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OECD SYSTEM OF COMPOSITE LEADING INDICATORS
http://www.oecd.org/std/leading-indicators/41629509.pdf

Potential leading indicators are classified to one of four types of economic rationale, shown below, that can be used to assess their suitability as leading indicators.

Early stage: indicators measuring early stages of production, such as new orders, order books, construction approvals, etc.

Rapidly responsive: indicators responding rapidly to changes in economic activity such as average hours worked, profits and stocks.

Expectation-sensitive: indicators measuring, or sensitive to, expectations, such as stock prices, raw material prices and expectations based on business survey data concerning production or the general economic situation/climate e.g. confidence indicators.

Prime movers: indicators relating to monetary policy and foreign economic developments such as money supply, terms of trade, et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