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31일 목요일

미국지표들



요즘 장단기차가 줄어들고 있다.
이런 추세적 모습으로 현재 미국의 지표들을 보면서 현 상황을 점검할 겸 몇가지 지표들을 확인해본다.




과거 미국에서 일어난 경기침체 전에 장단기차를 제외하고 가장 확실한 사인으로 보여진 실업률 그리고 4weeks initial claim. 이들 지표는 장단기차와 달리 절대적 바닥선이 없다. 그저 추세적 하락이 멈췄을 때, 그 때부터 경기를 주시해야 하는 지표로 보면 된다.

아직은 이들의 하락 추세가 반전될 기미는 안보인다.




신규주문, 생산, 재고, 선행지수.
과거엔 선행지수가 신규주문에 다서 선행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이 둘의 상관관계가 많이 옅어졌다. 선행지수는 계속해서 횡보 중. 개인적으로 90년 후반의 모습과 비슷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물가를 예측할 때 쓰는 지표 4개.
아직 물가의 yoy 추세적 하락을 예상하긴 어렵다.




소득(3), 소비, 생산, 선행지수, 4weeks initial claims
경기 후반의 가능성 암시.




소득지표와 소비지표.
소득지표3은 변동성이 가장 크지만 동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 따라서 추세적 변화를 잡기에 가장 유리하다. 소득지표 2와 1은 소비에 동행 혹은 후행하는 모습이 보인다. 따라서 소비의 추세적 방향성을 이해하는데 적합. 특히 소득지표 1은 노이즈가 적어 방향을 이해하는데 더 적합.

결론은? 이전의 횡보예측과는 달리 하강추세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여짐.

--

전반적으로 경기후반을 예상하게 하는 지표의 움직임이 포착된다.
경제라는게 살아있는 생명과 같아서 쉽게 예단하기는 어렵다. 또 상황이 바뀌면 그 예측도 쉽게 바뀌게 된다. 그래서 예단하기가 참 어렵다.

여튼 지금은 경기의 후반부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되니 조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17년 8월 7일 월요일

쉴러의 CAPE와 주식기대수익률 그리고 국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 예일대학교 교수가 뉴욕증시의 급락 가능성을 경고했다.

쉴러 교수는 27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최근 주가 상승은 기업 실적에 대한 과도한 반응에서 빚어진 결과"라며 "변동성이 지극히 낮은 데다 주가수익률(PER)은 설명하기 어려운 영역까지 상승해 앞으로 대규모 시가총액이 증발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자신이 고안한 경기조정주가수익률(CAPE)이 30을 뚫고 오른 점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쉴러 교수는 말했다.

CAPE가 30을 넘어선 것은 지난 1929년 대공황과 2000년 전후 닷컴 버블이 무너졌을 때였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최근 지표를 가볍게 여기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할 것이라는 이 나라 대통령의 발언이 실제 이뤄진다면 주식시장이 과거와 전혀 다른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며 "하지만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의 사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727000302



쉴러 교수의 CAPE(쉽게 말하면 10년간 평균 PER)는 현재 역사상 3번 째 높은 수준으로, 27년, 00년만 30을 넘어섰음을 감안할 때 지금은 매우 높은 수준이 분명하다.

그런데 이를 1/PER 즉 주가기대수익률로 바꿔서 보면 어떨까? 그리고 기대수익률과 국채와의 차를 그려보면 어떨까?

http://dalmitae.blogspot.kr/2017/06/bond-and-stock.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7/03/gs-rate-and-cape.html

http://dalmitae.blogspot.kr/2017/02/blog-post.html


(참고: +D는 배당을 감안한 주식기대수익률)

참고로 국채수익률에 물가를 빼어 실질 수익률과 실질 주식기대수익률의 차를 구해도 된다. TIPS를 사용하면 더 좋다. 다만 TIPS는 데이터가 짧고, 현재의 수준을 이해하는데 이 정도면 된다고 판단해 그냥 이정도 수준에서 본다.

주절주절 내용 쓸 거 없이 결론만 말하면

국채 수익률이 너무 낮아 CAPE는 비록 높지만 아직 주식이 매력이 있다고 판단됨.

2017년 8월 2일 수요일

제조업 업황실적과 ISM 제조업





수출의 속도조절은 예상된다.
하지만 속도조절의 수준이지 반락의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반적인 업종이 다 좋은게 아니라 지켜봐야 할 부분이 있다.